구글의 OS 크롬
구글의 OS 크롬
2008년 미국의 주요 검색 엔진 회사인 구글사가 출시한 오픈 소스 계열의 인터넷 브라우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스로 구동되는 개인용 컴퓨터용으로 이 소프트웨어의 첫 번째 베타 버전이 2008년 9월 2일 출시되었다.
크롬의 개발은 사용 설명을 담은 코믹 북(comic book) 웹 버전이 발표될 때까지 비밀로 유지되었다. 이 개발에 대한 보안은 구글 웹 사이트에 크롬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를 올리기 불과 몇 시간 전까지 지켜졌다.
구글사는 보도자료에서 크롬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 및 파이어폭스 같은 주요 브라우저들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파이어폭스는 구글이 기술 및 금전적 지원을 한 오픈 소스 계열의 브라우저이다.
기존의 브라우저들을 능가하는 빠른 속도를 구현해낸 크롬은 새로운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이용한다.
크롬은 애플사의 웹킷 코드를 사용했다. 웹킷은 애플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 사파리에서 사용했던 오픈 소스 계열의 렌더링 엔진이다. 레이아웃 엔진이라고도 불리는 렌더링 엔진은 HTML 등의 소스를 읽어들여 화면이나 프린터 등에 뿌려주는 기능을 한다.
크롬은 각각의 웹 페이지나 그 안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 창이나 탭들을 고립되거나 보호된 채로 보여주는 최초의 브라우저이다. 한편 이것은 열리는 각각의 새로운 탭이 최초의 탭만큼이나 많은 전용 컴퓨터 메모리를 요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또한 어떤 컴퓨터 코드가 이러한 탭 중 하나를 충돌하게 하더라도 전체 브라우저를 멈추게 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하나의 탭이 완전히 닫히면 그것에 할당되었던 메모리를 비워서 그 이전 브라우저들의 고질적이던 문제를 해결했다. 이전 브라우저에서 에러 페이지는 시간을 끌면서 더 많은 메모리를 요구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주 재부팅을 해야만 했다.
2009년 7월 7일 구글은 크롬 OS로 알려진 오픈 소스 계열의 운영체제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크롬 OS를 탑재한 최초의 컴퓨터가 2011년에 출시되었는데, 이것은 ‘크롬북’이라는 넷북이었다. 리눅스 커널 위에서 구동하는 크롬 OS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체적 운영체제보다 시스템 자원이 적게 든다.
크롬 OS 컴퓨터를 운영하는 유일한 소프트웨어는 크롬이고, 다른 모든 응용 소프트웨어들은 크롬 브라우저 안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