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컴퓨터 상식/★ 용어정리

코덱

행복유통 2012. 6. 9. 18:22

코덱(Codec)이란?

 

코덱은 Coder/Decoder의 약어로 압축과 해제를 의미합니다. 동영상은 압축없이 저장할 경우 1분에 100~500MB가 넘는 용량으로 저장이 됩니다. 1시간을 저장하려면 최대 30GB가 넘는 용량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런 용량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만든것이 코덱입니다. 현재
이용하고 있는 모든 동영상 파일은 코덱으로 압축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어떤 코덱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동영상의 화질, 해상도, 용량에 차이가 나게 됩니다.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코덱으로는 캠코더에서 사용하는 MOV, MPEG2, MPEG-4 AVC/H.264 등이 있으며, 컴퓨터에서 많이 사용하는 코덱은 MPEG-4 AVC/H.264, DivX, Xvid, WMV, FLV 등이 있습니다.
다음은 많이 사용하는 동영상 코덱입니다.

1. MPEG-4 AVC/H.264
현재 사용되고있는 동영상 코덱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지원하여 고화질(High Definition) 영상에 사용되는 코덱입니다. 이 방식의 코덱을 이용하면 MOT, M2TS, MP4등의 확장자를 가진 동영상 파일이 생성됩니다. 현재 출시된 대부분의 캠코더에서 지원하는 코덱입니다. 하지만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만큼 압축과 해제에 많은 과정이 필요하
므로 저사양의 컴퓨터에서는 화면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DivX
Microsoft 사가  만든 코덱이 DivX3이며, 이 DivX3 코덱이 사용자가 많아지자 DivX5.1 버젼 이상 부터 유료로 전환하였습니다.
주로 고화질의 인터넷 영화에 많이 사용하였으나 유료화로 인해 예전에 많이 사용되었던 코덱입니다. 이 코덱을 이용하면 *.AVI 파일로 저장됩니다.

3. Xvid
DivX 코덱이 본래의 목적을 잃고 유료로 전향한것에 반발해 나온 코덱이 그 이름을 뒤집어 사용한 XviD 코덱입니다. XviD는 DivX의 구버전 디코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통은 DivX 코덱 설치없이 XviD 코덱만 설치하여도 DivX 코덱으로 만들어진 동영상과 XviD 코덱으로 만들어진 동영상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TV프로그램, 영화 등의 장시간 재생이 필요한 파일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코덱을 이용하면 *.AVI 파일로 저장됩니다.

4. WMV
Microsoft사에서 제공하는 코덱으로 DivX, Xvid과 비교해 본다면 비슷한 화질에 더많은 압축률을 제공합니다. 쉽게말하면 동영상을 같은 화질에 더 적은 용량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동영상 용량에 큰 차이가 없고, 인코딩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짧은 시간의 영상이나 작은 용량의 동영상 인코딩에 주로 사용합니다. 이 코덱을 이용하면 *.WMV 파일로 저장됩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에는 Microsoft사에서 제공하는 몇가지 코덱만 설치되어 있어 대부분의 동영상 재생시에 영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영상 재생시 영상은 보이지 않고 음성만 나오는 경우나 반대로 영상은 보이나 음성이 나오지 않는 경우는 모두 해당 영상을 만들때 사용한 코덱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해당 코덱을 컴퓨터에 설치하면 동영상을 볼 수 있게 됩니다.

'1. 컴퓨터 상식 >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최적화 기능  (0) 2012.07.05
GIF 애니메이션이란?  (0) 2012.07.05
UCC란?  (0) 2012.06.08
동영상이란?  (0) 2012.06.08
보안용어  (0) 201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