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콘(Beacon)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 근거리통신기술로 최대 70m까지 교신이 가능한 위치 정보 전달을 위해 주기적으로 특정 신호를 전달하는 기기를 일컫는다. 비콘(Beacon)은 사전적 의미로 봉화나 등대, 신호등처럼 위치를 알리기 위해 설치한 불빛이나 표지를 말한다. 2013년경 이후로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뜻하는 말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블루투스 비콘은 전력 소모가 적고 가용거리가 길어 O2O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또한 기술적 의미로는 블루투스나 비가청영역의 주파수를 활용해서 단말기까지 정보를 주고 받는 기술이다.
전력 소모가 적고 가용거리가 길어 모든 물체에 인터넷을 적용하는 사물인터넷(IoT)이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 서비스 등에 활용하기 적합하다.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많이 소모하지 않으면서도, GPS 기술로 파악이 어려운 실내 위치 정보 등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비콘은 2013년엔 야구장에서도 비콘 서비스가 도입 됐는데, 뉴욕 메츠의 '시티 필즈' 구장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일단 야구팬들은 티켓 구매와 함께 스마트폰을 통해 입장권과 좌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경기장 내 매장의 비콘 서비스를 통해 가상 포인트 카드를 발급받고 쿠폰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외에 LA다저스 구장과 샌디에이고 파드레스 펫코파크 구장에도 65개의 아이비콘이 설치됐다고 한다. 앞으로 미국 내 모든 구장으로 확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한다.
또 외식을 할 때도 비콘 서비스를 활용 할 수 있다.
음식점 앞을 지날 때 해당하는 할인 쿠폰을 바로 전송해주고, 심지어 냉장고 속 우유의 유통기한도 비콘이 알려준다고 한다. 마트에 갔을 때도 어떤 우유가 저렴하고 좋은지도 바로 확인시켜 준다고 한다.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Bluetooth : 최대 70m 반경 이내의 근거리 데이터 통신기술
NFC : 5~10cm 이내의 거리에서 데이터를 주고 바드는 무선통신 기술
RFID :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통신기술로 출,입통제시스템, 전자요금시스템에 이용(Hi Pass)
ANT+ : 주로 최저전력 센서와 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통신기술
페어링(Pairing) : 블루투스 기기들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시스템
'1. 컴퓨터 상식 > ★ 스마트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라이브 방송 (0) | 2017.08.16 |
---|---|
멀티 채널 네트워크(Multi Channel Network) (0) | 2017.08.16 |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 (0) | 2017.08.10 |
모바일 악성코드란? (0) | 2017.08.08 |
NFC(근거리 무선통신) (0) | 2017.08.05 |